로그인
회원가입
쇼핑몰
젼열교환기
도서
HOUSE
CULTURE
LIVING & DECO
건축자재
Get Ideas
분양 정보
체류형쉼터
전열교환기 정보
재경영광군향우회
정보공유
일정관리
AI
LIVING & DECO
검색
RSS
포인트정책
LIVING & DECO 포인트 정책
글쓰기
5P
전체 248건 / 3 페이지
전체
house
living
culture
인기
2023.01.19
욕실 마감, 페인트로 칠해도 문제없나요?
GOOD IDEA★ 욕실의 전통적인 마감재인 타일과 비교해서 저렴한 가격으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취향과 사양, 규모에 따라 편차가 크지만, 대략적으로 재료비 수준에서부터 거의 두 배정도 차이가 나는 정도입니다.★ 리모델링 시 큰 공사 없이도 새로운 느낌을 주기에 좋습니다. 기존 타일 위에 칠하면 덧방으로 공간이 줄어들지도 않으면서 낡은 타일 무늬나 색감을 가릴 수도 있지요. 색깔을 자유롭게 고를 수 있다는 것도 상당히 큰 장점입니다.★ 타일보다 내구성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같은 모델의 페인트를 기억하고 있다면 비전문가인 건축주 수준에서도 유지보수가 간편합니다. 타일이 손상되었을 때 보수 방법과 비교하면 그 차이는 월등하지요.★ 줄눈 부분의 물때나 곰팡이 우려가 큰 욕실에도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페인트 자체가 어느 정도 내수성, 항곰팡이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BAD IDEA▲ 수전이나 수건걸이, 휴지걸이 등 손이 자주 닿는 욕실 내 요소들 주변에는 스침으로 인해 스크래치가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수가 어렵지 않다고 해도 타일에서는 걱정할 필요가 없는 부분인 만큼 아쉬운 대목입니다.▲ 전용 페인트를 쓰더라도 타일만큼 내구성·방수성이 뛰어나지는 않기 때문에 사용하더라도 환기가 원활하거나 건식 공간에 쓰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바닥에서 일정 높이까지는 타일을 함께 쓰는 것이 좋습니다.▲ 타일과 비교해 페인트를 칠하기 직전까지 밑작업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크랙 퍼티 작업, 줄눈 방수, 프라이머 등이 그것입니다. 특히 타일 위에 시공한다면 밑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타일 무늬를 덮어버리는 페인트 특성상 흠집, 줄눈 습기로 인한 박리 등의 문제가 더 도드라져 보입니다.▲ 욕실은 거실 등 개방된 공간과 달리 대체로 좁고 밀폐되어, 냄새가 심한 종류의 페인트를 시공하면 욕실 이용이 상당기간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구성_ 신기영 | 일러스트_ 임경은ⓒ월간 전원속의 내집 / Vol.273 www.uujj.co.kr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3-01-19 13:28:02 HOUSE에서 이동 됨]
관리자
조회 5,648
인기
2022.12.29
숙면과 공간 활용을 모두 누리는 토퍼 매트리스
전원 속에 나만의 집을 짓고 건강하고 편안한 삶을 누리고자 하는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건강하고 편안한 삶의 필수 조건은 바로 ‘숙면’.잠자리가 편해야 하루가 편안하고, 그런 하루하루가 모여 건강한 인생이 된다. 하지만 나이가 들며 갱년기를 거칠수록 깊게 잠드는 것이 힘들어지기 마련이다.결국, 여러 종류의 침대와 매트리스를 바꿔 써보며 숙면을 위한 아이템을 찾아 나서게 된다. 점점 불편해지는 허리의 안정감을 위해 푹신한 매트리스보다 바닥이나 돌침대처럼 탄탄한 경도를 선호하는 경향도 짙어진다.여기, 숙면을 위한 고민이 깊은 4060을 위한 매트리스가 있다.4060 중장년층 허리 건강을 위한 탄탄함다양한 침대를 써볼 만큼 써본 중년들이 선호하는‘몽제 매트리스’는최적의 탄탄한 경도를 갖췄다. 허리가 아프면 누워있는 자세가 편해지며 침대에 오래 누워있게 되는데, 이때 푹신한 매트리스를 쓰면 몸이 아래로 꺼지거나 골반 부분이 지나치게 가라앉을 수 있다. 특히 잠을 자는 동안에는 불편해도 자세를 바꾸기 어려워 아침에 일어났을 때 허리 뻐근함을 느끼기가 더 쉽다.몽제 매트리스는 푹신한 매트리스와는 달리 몸을 받쳐 올려주는 느낌을 준다.견고한 지지력이 몸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면서도 돌침대나 바닥처럼 배기지 않아 허리뿐 아니라 전신이 편안해 중장년층의 건강한 숙면을 돕는다. 몽제 매트리스는 바닥에서의 수면을 선호하는 중장년층에게 제격이면서도 바닥처럼 너무 딱딱하지는 않은 딱 알맞은 정도의 탄탄함을 갖췄다.올렸다가 내렸다가, 접었다가 폈다가 활용도 만점‘몽제 매트리스’는 두께는 얇지만, 지지력이 견고해 침대 매트리스 위, 침대 옆 바닥, 거실 바닥을 비롯한 단차가 있는 곳, 복층 공간, 다락 등주택 여러 공간 어디에서나 활용할 수 있다.요즘은 편안한 잠자리를 위해 부부간 침실이나 침대를 분리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는데, 이 경우 분리한 침대 매트리스 위에 올려서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방에서 잘 때는 혼자서도 손쉽게 옮길 수 있어 잠자리 이동이 용이하다. 한 번 자리를 잡으면 이동이 어려운 기존 매트리스와 달리이동과 설치가 쉬워다양한 생활 공간에서도 안성맞춤으로 사용할 수 있다.자녀들이나 손님이 많이 놀러 오는 전원주택은게스트룸도 고려를 안 할 수 없다. 이때 자리를 차지하는 별도의 침대 프레임 없이도 몽제 매트리스만 침대에서 내려주면 손님에게 완벽한 잠자리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으며, 쓰지 않을 때는 분리하여 보관도 가능하다.어떤 인테리어에도 잘 녹아드는 깔끔한 디자인노후를 위한 은퇴 주택, 여가를 위한 주말 주택 등 공간 구성과 인테리어가 각양각색인전원주택에도 잘 어울리는 ‘몽제 매트리스’.채도가 낮은모던 그레이 색상과 깔끔한 라인의 각진 디자인이 어떤 인테리어에도 잘 어울리며 무난하게 활용 가능하다. 화려하고 눈에 띄는 컬러와 디자인이 아니기에 어떤 인테리어 콘셉트와도 조화롭고 실내 분위기를 해치지 않는다.피부가 닿는 면의커버 소재도 100% 식물성 소재(텐셀의 라이오셀™ + 리넨 혼방)로, 자연 유래이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선사한다. 또한, 점점 건조하고 민감해지는 중장년층의 피부에도 자극 없이 부드럽게 와 닿는다.진드기, 유해 물질 걱정 없고 통 세척 가능한 소재몽제 매트리스는 3D 그물망 구조로습기 차기 어려운 프리미엄 소재 에어네트™가 적용돼 진드기가 살 수 없는 구조의 매트리스다. 에어네트™는 메모리폼 대비 39.3배, 라텍스 대비 12.8배, 폴리우레탄폼 대비 3.7배 통기성이 높아 열기가 잘 순환된다. 갱년기를 거치면서 몸에 땀이 많이 나고 더워서 숙면을 취하기 어려운 중장년층에게 제격이다.물이 통과되기 때문에속까지 세척과 건조가 가능하다. 라돈, 접착제 없이 통으로 된 소재로 불쾌한 냄새와 유해 물질 걱정도 없다. 주택의 매력은 집안 이곳저곳을 손수 관리하는 재미라지만, 일이 과도하면 버겁기 마련이다. 몽제 매트리스는 이런 일거리, 고민거리 하나를 덜어준다.중장년층의 숙면, 허리 건강, 주택 공간 활용, 손쉬운 관리까지 모두 만족시키는 몽제 매트리스로 올 연말, 연초 편안한 수면 시간을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 부모님 선물로도 제격인 몽제 매트리스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구매 가능하다.기업 Info.“몽제(MONGZE)”(주)데일리앤코의 프리미엄 매트리스 브랜드다. 고객이 특별한 숙면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론칭했다. 숙면에 최적화된 소재인 에어네트™를 개발했고, 대표 히트상품인 ‘몽제 딥슬립 매트리스’를 만들었다.제품 Info 1.“몽제 딥슬립 매트리스”사이즈: S-100x200x5.5cm / SS-110x200x5.5cm / Q-150x200x5.5cm / K-165x200x5.5cm (모두 겉커버 높이 포함, 오차 범위 -3x-3cm )가격: S사이즈 385,000원부터제품 Info 2.“몽제 에르고 에어네트 베개”사이즈: 60x36x5.5~10.5cm(커버 높이 포함, 오차 범위 +/-1cm)가격: 108,000원몽제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회원 대상으로 무료 배송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몽제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구성_오수현| 사진_변종석, 브랜드 제공ⓒ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전원속의내집
조회 5,770
인기
2022.12.23
실링팬을 설치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GOOD IDEA★ 집을 쾌적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환기가 중요합니다. 실링팬은 실내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어 실내를 빠르게 환기시킬 수 있습니다. 코로나 위험으로 요즘같이 환기가 중요한 시기에 더욱 유용합니다.★ 공기의 순환이 원활해져 냉·난방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위아래 공기의 온도 차를 줄이는 효과로 약 20~30%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죠. 정방향과 역방향 기능이 있으면 여름뿐만 아니라 겨울에도 따뜻한 공기를 아래로 순환시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공간의 중앙에 설치하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어 비슷한 기능을 하는 선풍기나 서큘레이터보다 효율적입니다. 또한 바닥을 차지하지 않고 이동 중 걸릴 위험도 없습니다.★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링팬의 디자인, 컬러, 재질 등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어 원하는 분위기를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습니다.BAD IDEA▲ 천장고에 따라 설치에 제약이 있습니다. 미국의 실링팬 업체들은 바닥에서 날개의 높이까지 최소 2.1m 높이로 천장에 설치하기를 권장합니다. 일반적으로 국내 아파트의 경우 천장고의 높이가 2.3~2.4m 정도 되며, 안전과 효과 면에서 짧게 내려오는 실링팬을 설치합니다.▲ 천장 보강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실링팬 자체의 무게는 7~8kg이지만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과 무게, 역회전 시 천장을 잡아 내리는 힘까지 고려하면 20kg 정도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조명의 위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우물천장에 매립 간접조명을 시공 후 실링팬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링팬이 돌아갈 때 조명이 깜빡여 보이거나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적절히 위치 설정을 해야 합니다.▲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실링팬 구입 비용 이외에 위에 언급된 시공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취재_조재희| 일러스트_임경은ⓒ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72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8,616
인기
2022.12.13
목조주택 실내, 페인트보다 벽지가 나을까요?
대표적인 실내 마감재 두 가지로 꼽을 수 있는 페인트와 벽지. 이 중, ‘페인트는 목조주택에 맞지 않는다’는 소문을 인터넷 등지에서 종종 보곤 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 소문에 대해 유의미한 우열은 없다는 견해가 많았습니다. 다만, 페인트가 좋지 않다고 여길 수 있는 몇 가지 오해는 있다는데요. 그 오해와 함께 페인트 마감 시 주의사항을 짚어보겠습니다.우선 통기성에 대한 오해입니다. ‘페인트를 칠하면 구조 내 습기가 배출되지 않아 하자가 생긴다’고 하지만, 사실과는 조금 다릅니다. 이는 일반 유성 페인트에 해당하는 이야기로, 대부분의 실내용 수성 페인트는 해당 문제가 거의 없는 편입니다. 다만 벽지의 경우, 종이 재질인 합지벽지가 아닌 비닐 재질인 실크벽지가 건축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데, 실크벽지는 투습이 어려워 일부 습기 이슈가 생길 수 있습니다.정석대로만 시공한다면실내용 수성 페인트 문제 없어…결국 취향과 비용 문제밑작업 미비로 인해 오해가 빚어지기도 합니다. 페인트는 보통 석고보드 위에 칠하게 됩니다. 이 석고보드는 목구조에 부착되면서 수많은 못 자국과 틈새를 만들게 됩니다. 벽지라면 비교적 쉽게 커버할 수 있지만, 페인트는 한랭사와 퍼티, 코너비드 등으로 꼼꼼하게 메꿔주지 않으면 자칫 하자처럼 여겨질 수 있습니다. 물론, 꼼꼼한 밑작업만 이뤄진다면 문제가 없는 사안입니다.여기에 더해 단열과 기밀로 인한 오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목조주택은 일정 부분 수축과 팽창이 이뤄지는데, 단열과 기밀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 시간이 흐르면서 구조재의 뒤틀림도 더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페인트 도장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됩니다. 물론 앞 사례처럼 제대로 단열과 기밀이 확보된다면 더 안정적으로 마감면이 오래 유지되는데 도움이 되지요.결론적으로 ‘목조주택에는 페인트가 맞지 않는다’는 상당 부분 오해입니다. 목구조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정석적인 시공이 이뤄진다면, ‘페인트냐 벽지냐’하는 논쟁은 기술 문제보다는 취향과 일부 비용적인 문제에 지나지 않을 것입니다.취재_신기영| 일러스트_임경은ⓒ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72 www.uujj.co.kr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12-13 18:27:47 HOUSE에서 이동 됨]
관리자
조회 5,889
인기
2022.12.13
다양한 쓰임이 있는 지하실
알카드 스튜디오어둡고 습한 창고로만 인식되어왔던 지하실.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주차장부터 취미실, 상점까지 틀에 박히지 않은 아이디어를 더한 지하실 공간 디자인 모음.상가주택 밑 사진 스튜디오• 알카드 스튜디오 •노후한 다가구주택 건물의 지하층은 채광과 습도, 결로 등 많은 면에서 활용도가 낮은 공간이었다. 새롭게 지은 상가주택은 배수판과 이중 단열, 방수 등 구조체 외부 설비를 보완해 쾌적한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됐다. 출입구를 양쪽으로 내어 접근성을 확보한 것 또한 포인트. 사진 스튜디오는 노출콘크리트 마감과 밝은 톤의 페인트, 그리고 목재 바 테이블로 넓어 보이면서도 편안한 분위기를 지닌다.준 아키텍츠빛을 품은 도자기 공방• 문도방 •ⓒ윤준환전시장과 공방이 거주 공간과 분리되어야 했던 주택. 낮은 담장 너머로 만들어진 썬큰 중정은 햇빛을 머금음과 동시에 외부와 진입로를 구분하며 공간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하 공방은 전면창이 확보해준 채광으로 항상 밝으며, 노출콘크리트 마감이 보이도록 오픈한 천장 덕분에 답답함이 적다. 차분한 파스텔 그린 톤의 테이블은 공간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는 포인트다.㈜솔토지빈건축사사무소가족의 서재에서 모두의 서재로• 정릉동 협소주택 •ⓒ윤준환학자로 살아온 부모님 세대의 책들과, 음악을 좋아하는 아들 세대의 무대가 담긴 지하서재. 카페와 펍을 겸하며 이제는 방문하는 모든 이의 서재가 되었다. 보이드 공간을 통해 1층과 지하층은 구분 없이 연결되며 함께 햇빛을 받는다. 통일된 목재 가구의 색감과 곡선을 살린 공간은 정형화되지 않는 공간의 매력과 정체성을 반영한다.㈜솔토지빈건축사사무소비밀의 문 속 나만의 작업실• 배다리주택 •공간 확보와 분리를 위해 1층과 지하실 사이 계단에 문을 달았다. 바닥처럼 숨겨져 있던 문을 열면 나타나는 인더스트리얼 스타일의 지하 공간. 벽체가 파손된 부분을 그대로 살려 투박하면서도 매력적이다. 집주인의 취향을 있는 그대로 담아 내어 휴식을 위한 공간과 더불어 취미를 위한 스튜디오 역할을 동시에 해낸다.AAPA 건축사사무소둘만의 미니 바 & 파티룸• 율현동 주택 인테리어 •ⓒ티티티 웍스평소 와인과 위스키를 즐기는 부부를 위한 가족실 겸 파티룸. 레어로우의 시스템 선반이 들어간 벽면은 자연스럽게 진열대 역할을 하며 미니 바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층고가 낮은 편이지만 천장을 오픈하고 레일 조명을 달아 개방감을 주었다. 또 자작나무 합판 특유의 눈이 편안한 색감과 아이보리 벽돌의 질감 덕에 아늑한 아지트와 같은 느낌이 살아난다. 티티티 웍스BASEMENT TIP 지하실의 가장 큰 단점은 환기가 어려워 습도 관리가 힘들고 유해한 가스들이 낮은 공간에 쌓일 수 있는 위험성에 있다. 따라서 지하실을 조성할 경우 단열이나 환기 등 여러 디테일한 설비에 신경을 써야 하며 드라이 에어리어를 필수로 확보해 관리를 용이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집 안의 또 다른 세상• 유원집 •넓은 규모의 주택인 만큼 지하실의 활용도 또한 무궁무진하다. 갤러리로 변신할 수 있도록 간접 조명을 설치한 지하주차장. 온천을 좋아하는 가족을 위해 햇빛이 들도록 디자인한 풀장. 홈 카페와 바를 겸하는 깨끗한 인테리어의 서재. 디자인 조명과 함께 널찍하게 펼쳐진 실내 마당까지 어느 하나 버릴 곳이 없도록 공간을 알차게 활용해 가족 모두를 만족시켰다.순디자인랩대지 단차를 활용한 주차장• 마이구미 •ⓒ신경섭구미 시내의 산 중턱에 위치한 택지. 마당의 즐거움과 뒷산의 정취를 모두 즐길 수 있도록 고민한 끝에 레벨차를 이용한 지하 공간을 조성하게 됐다. 주차장으로 통하는 면 외에는 프라이버시를 위해 벽을 높게 올려 시선을 차단하고, 동시에 지하 공간으로 빛이 통하도록 상단부를 트고 안뜰을 조성했다. 게스트룸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남겨둔 지하 공간에는 썬큰을 통한 빛이 들어오며 중정의 역할을 하고 있다. 키카 큰 자작나무는 주택 전체를 꿰뚫는 모양으로 이 집만이 가진 독특한 공간감을 표현한다.폴리머 건축사사무소한 번 더 분리된 생활공간• 수완동 주택 •ⓒ노경삼면이 땅에 묻혀 있는 부채꼴 모양의 대지. 덕분에 지하 1층이 정면에서는 지상층으로 보여지는 형태다. 이를 활용해 생활 공간과 외부를 한 번 더 분리했다. 주차장이나 대문을 통해 들어가면 보이는 멀티룸은 집으로 진입하지 않고도 손님과의 간단한 미팅을 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취미를 위한 공간이 되기도 한다.사계절프로젝트 건축사사무소하나의 집, 두 가지 모습• 언덕 위 벽돌집 •ⓒ염승훈경사지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 세 개의 덩어리를 교차해 포개놓은 듯 지어진 벽돌집. 앞과 뒤의 모습이 전혀 다르게 보이는 시각적인 매력을 가짐과 동시에 지하 1층과 지상 2층 공간이 모두 알차게 활용되었다. 지하층이지만 충분한 채광과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단열과 방습에 신경을 써 주생활 공간이 배치될 수 있었다.㈜집파트너스 건축사사무소 + 스몰러건축취재_손준우| 사진_주택문화사 DB 각 작가별ⓒ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72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12-13 18:28:13 HOUSE에서 이동 됨]
관리자
조회 7,773
인기
2022.11.22
취향 가득한 미니 바 아이템
지친 하루를 나만의 분위기로 마무리할 수 있는 공간. 혼자일 때도, 함께일 때도 즐거운 추억을 만들어줄 미니 바 아이템.▲ 원목과 대리석을 이용한 테이블, 골드 프레임 의자, 간접조명으로 계속해서 머물고 싶은 미니 바를 만들었다.도원건축디자인그룹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독사, Mamba를 형상화 한 리델의 와인 디캔터. 별도의 틀을 이용하지 않고 입으로만 불어서 만들기 때문에 제품마다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www.nvino.com세워둘 수도 있고, 눕힐 수도 있는 라뜰리에뒤뱅 시티 와인 랙. 9개의 원들이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어 와인을 종류별로 구분해서 보관하기 편리하다.http://howdy.ssg.com바이온의 Ocean shell 시리즈 칵테일 스틱. 바다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 디테일이 돋보인다. 4가지 모양이 세트로 구성된다.www.nordicnest.kr6조각으로 이루어진 THE EMPATHIST의 황동 퍼즐 코스터. 모서리가 날카롭지 않게 가공되어 안전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황동 특유의 색감이 나타난다.www.chapterone.kr환경을 생각한 HAY의 글래스 십 스월 스트로우. 6가지 컬러가 한 세트이며 유리 빨대 사이즈에 맞는 작은 세척 솔도 구성되어 있다.https://livin.co.kr기하학적으로 깎인 표면과 콘크리트 질감이 감각적인 Specimen Editions의 보틀 쿨러. 여러 개를 겹쳐서 쌓아올리면 보틀 보관 랙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www.leweekend.co.kr구성_조재희ⓒ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71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5,929
인기
2022.11.17
소소하지만 확실한 취향, 디자인 문구가게
선선한 바람이 코끝을 건드릴 때.일상의 기록을 나만의 감성으로 꾸밀 수 있게 도와줄디자인 문구숍 리스트.작은 연필가게 흑심추억의 도구로 남겨진 연필의 가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곳, 흑심. 우연히 오래된 연필상자를 보고 빠져들어 빈티지 연필을 수집하던 것이 연필 가게가 되었다. 연필을 중심으로 예전의 것을 재해석한 디자인을 선보인다. 자체 디자인 제품뿐만 아니라 STABILO, DIXON, Eagle 등의 빈티지 연필도 판매하고 있다. 굵기와 진하기, 필기감 등 취향에 맞는 연필을 마음껏 고를 수 있으며 짧아진 연필을 편리하게 쓰기 위한 연필 익스텐더, 연필깎이, 지우개 등 연필에서 확장된 다양한 제품들도 만나볼 수 있다.매장주소서울시 마포구 연희로 47 3층 301호 전화번호070-4799-0923 영업시간13:00~20:00(화요일~금요일) 13:00~19:00(토요일) 홈페이지www.blackheart.kr아카이브 우도아카이브 우도는 제주 섬 속의 섬, 우도를 기반으로 한 로컬 굿즈 브랜드이다. 에메랄드 빛 바다라고 불리는 하고수동 해변에 위치해 있으며 우도지역 특산물과 자연 경관을 활용한 굿즈들을 제작한다. 우도를 대표하는 8가지 풍경의 스토리를 담은 ‘우도팔경’ 엽서, 우도의 특산물인 땅콩을 형상화한 마그넷, 우도 섬의 모양을 본떠 만든 투명 아크릴 열쇠고리 등의 제품을 통해 여행자들에게 추억을 한 조각 선사한다. 우도 땅콩의 특별한 맛을 담아낸 땅콩잼과 함께 간단한 마실 거리와 땅콩 아이스 크림도 즐길 수 있다.매장주소제주특별자치도 우도면 우도해안길 804 전화번호0507-1322-0220 영업시간11:00~16:30 인스타그램archive_udo비스켓 스튜디오비스켓스튜디오는 직접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디자인한 제품들을 판매하는 문구숍이다. 온라인숍을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올해 오프라인 쇼룸을 오픈했다. 이국적인 여행 사진을 담은 엽서와 포스터, 달력 등 나만의 공간을 감성적으로 꾸며줄 아이템들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인기 상품인 시즌노트는 ‘우리의 모든 계절을 담는 노트’라는 모토로 시즌마다 새로운 디자인으로 찾아온다. 패브릭 소재로 제작한 필통과 파우치, 트래블 백들도 판매하고 있다. 쇼룸에는 온라인에서 볼 수 없는 제품들과 다양한 입점 브랜드 제품들도 만나볼 수 있다.매장주소부산광역시 북구 상리로58번길 41 1층 전화번호010-2231-4408 영업시간12:00~17:00(수요일~토요일) 홈페이지www.beesketstudio.com사심굿즈사심굿즈는 ‘모든 일은 사심이 담길 때 행복해진다’는 마음을 담아 시작한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이다. 하트 모양에 앙증맞은 눈, 코, 입이 그려진 ‘사심이’가 대표 캐릭터. 메모지와 노트같은 기본적인 문구류부터 핸드폰 케이스, 텀블러, 에코백 등 일상 속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을 귀여운 캐릭터와 다채로운 색감과 함께 만나볼 수 있다. 온라인에서 구매한 제품을 쇼룸에서 픽업하는 서비스도 진행 중이다. 망원동에 위치한 쇼룸에는 방문객들을 위한 무료 흑백 사진기가 준비되어 있으니 사심 가득 담은 굿즈들과 행복한 추억을 남겨보자.매장주소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19길 30 전화번호070-7774-4102 영업시간14:00~19:00(목요일~일요일) 홈페이지www.sasimgoods.com페이퍼리안종이를 뜻하는 PAPER와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AN(IAN)이 합쳐져 탄생한 디자인 문구 브랜드 페이퍼리안. 종이로 이룰 수 있는 모든 감성적인 디자인과 제품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아이템들을 제작한다. 노트, 다이어리, 메모지, 스티커 등 고품질의 종이를 수입해 페이퍼리안만의 감성으로 녹여낸 제품들을 선보인다. 문구 제품뿐 아니라 파우치, 필통과 같은 악세사리와 리빙제품 등도 판매한다. 쇼룸에 방문하는 고객은 상시 10% 할인을 적용하고 있다. 남산둘레길 입구에 자리하고 있어 산책코스로도 제격이다.매장주소서울시 중구 필동로 85, 네스트빌라 B101호 전화번호02-2232-5632 영업시간11:00~17:00(주말, 공휴일 휴무) 홈페이지www.paperian.co.kr러브피스 마음디자인 그룹 ‘마음 스튜디오’에서 만든 쇼룸 러브피스마음(love.peace.maum)에는 ‘우리가 사랑한 모든 것’이라는 주제를 담아 만든 상품들이 기다리고 있다. ‘러브, 피스, 마음’, 각각을 표현하는 기호와 컬러를 활용해서 만든 노트, 메모지, 엽서 등의 문구 상품들을 포함해 캔들, 다용도 보자기 등 다양한 컬래버레이션 제품들도 판매한다. 계단 형식의 진열대와 위트 있는 미끄럼틀로 구성한 쇼룸에 서는 이전에 진행한 프로젝트 제품들부터 상시 판매하는 제품들까지 만나볼 수 있다. 비정기적으로 개성 있는 아티스트들의 전시도 진행하고 있다.매장주소서울시 마포구 토정로3길 13, 1층 전화번호070-7621-1171 영업시간12:00~21:00 (설, 추석 명절 당일 휴무) 홈페이지www.lovepeacemaum.com취재_조재희| 사진_브랜드 제공ⓒ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71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5,467
인기
2022.11.17
유리 블록, 집 인테리어에 써보면 어때요?
Glass Block InteriorGOOD IDEA▶다양한 디자인을 구상할 수 있습니다. 유리의 무늬로 질감에 변화를 줄 수 있고, 구획에 변형을 주어 중간에는 창문이나 선반을 내는 등의 활용도 가능합니다. 유리의 색상이나 줄눈 소재를 변주하면 스테인드글라스와 같은 느낌으로도 연출할 수 있습니다.▶빛이 한 번 걸러지기 때문에 직사광선으로 인한 눈부심이 적고 외부 시선을 차단해 사생활 보호도 가능합니다. 확산 유리 블록의 경우 항상 은은한 빛을 퍼뜨려주어 해가 안 드는 북향 주택의 채광 대안이 되기도 합니다.▶유리 블록의 내부는 질소가 충전되거나 진공 상태로 제작되어 방음이나 단열에도 뛰어나고, 결로 현상에도 강해 다양한 공간에 적용 가능합니다.▶독립된 블록의 특성상 곡선 벽면에도 적용이 가능해 값비싼 곡선형 유리창의 대안이 될 수도 있습니다. 파손 시에도 해당 부분만 빼서 교체하면 되니 보수도 쉬운 편입니다.BAD IDEA▷좋은 성능의 강화 유리가 많이 나왔다지만 파열에서 자유롭기는 어렵습니다. 때문에 넓은 공간에 설치 시 구조 보강과 설계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파손 시 비산 위험성이 있으니 항상 안전에 유의해야 합니다.▷비용이 많이 발생합니다. 유리 블록 자체의 가격도 비싸지만 더 다양한 색상과 무늬들로 디자인하고, 또 이를 시공사에게 디테일하게 의뢰할 경우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죠.▷관리가 힘듭니다. 굴곡진 부분이나 줄눈에 먼지가 쌓이기도 하고, 욕실이나 주방 등 물을 쓰는 곳에서는 물 자국이 남기도 합니다. 무늬나 색상이 들어간 경우에는 오염이 더 잘 보이기도 하니 청소를 자주 해줘야 합니다.▷용도가 제한적입니다. 창문의 대안이 될 수는 있지만 완전히 대체하기는 힘듭니다. 통풍 여부와 채광 방향 등을 고려해 용도와 위치를 신중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취재_손준우| 일러스트_임경은ⓒ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71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5,805
인기
2022.10.31
삼대를 위한 프라이빗한 공간 제안
삼대가 따로 또 함께 하는 집이기에 가족들이 좋아하는 것들을 모두 풀어냈다. 하나의 공간에 두 개의 이야기를 담은 집.부모와 아들 내외 그리고 손녀딸이 함께 살고 있는 곳. 취향과 활동 시간이 다른 삼대가 공존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크고 작은 불편함이 있을 법한데, 그러함에도 함께 하는 것을 선택한 이들을 위해 새로운 제안이 필요했다. 서로의 라이프스타일을 존중해 생활공간을 분리, 한층 프라이빗한 공간이 계획된 현장이다.공사의 주체가 된 것은 노부부, 그중에서도 아내였다. 직접 디자인한 공간에서 사는 것이 평생 소원이라는 아내를 위해 남편은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덕분에 아내는 공사 내내 행복해하며, 일상에 필요한 모든 공간을 세세히 제안하고 함께 고민했다. 그녀가 원했던 것은 가족 구성원이 많은 만큼 최대한의 공간 확보와 각 공간의 독립성이었다. 넉넉한 수납으로 정리정돈이 절로 되는 집, 그리고 가족이 함께할 쾌적하고 넓은 다이닝룸 또한 공사 리스트에 담아뒀다. 그리고 그에 대한 바람은 스탠딩피쉬 디자인의 윤미선 실장을 통해 내부 곳곳에 고스란히 반영됐다.월넛 컬러의 가구와 잔잔한 무늬의 포세린 타일로 꾸며진 중후한 분위기의 현관.내부로 들어서면 좌측으로는 아들 부부의 공간이, 우측으로는 부모님과 자녀방 그리고 거실이 이어진다. 복도 벽을 허물고 통유리벽으로 시공한 서재 덕분에 공간에 개방감이 느껴진다.화이트 컬러로 도장한 벽면과 라이트 그레이 톤의 포세린 타일로 모던하게 연출한 거실과 주방.시계 방향 순으로POINT 1_부모님을 위한 통유리 서재 공간기존 안방의 드레스룸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부모님을 위한 서재를 마련했다. 복도 쪽 벽을 허물고 유리벽으로 시공, 부모님의 침실과 욕실과도 이어져 있어 가족들의 발길이 자주 닿는 소통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 POINT 2_프라이빗한 룸으로 통하는 출입문부부의 공간에 별도의 문을 달아 프라이버시를 확보했다. 월넛 소재의 간살 슬라이딩 도어를 열면 욕실과 드레스룸, 가족실, 침실이 차례로 눈에 들어온다. 간살 패턴이 벽까지 이어지고 현관의 마감재와 자연스레 이어져 정갈한 느낌을 더했다. POINT 3_천장 매립형 주방후드커다란 노출형 덕트 대신 천장 매립형 후드를 선택, 주방과 거실의 시야가 탁 트여 공간이 한층 쾌적해 보인다. 요리할 때마다 덕트에 묻어나는 기름때를 닦아내느라 수고스러울 필요가 없으니 단연 편리한 아이템임이 분명하다.주방을 중심으로 거실과 다이닝룸이 좌우로 배치되어 있어 세 공간의 동선이 편리하다. 가족이 모이는 공용 공간은 최대한 간결하게 디자인하되 코발트 블루 컬러의 소파와 패브릭, 펜던트 조명으로 감각을 더했다.거실과 다이닝룸 사이 가벽을 연장해 간살 파티션을 시공, 아늑함을 살렸다.넓은 아일랜드 조리대와 넉넉한 수납장으로 편리함을 더했다. 매립형 주방후드 설치로 공간이 한결 정돈되어 보인다.집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화이트와 그레이, 우드가 어우러져 차분한 스타일로 꾸며졌다. 각기 다른 취향을 모두 담아낼 수 없기에 복잡한 장식보다는 공간마다 어울리는 조명으로 포인트 주는 방식을 택했다. 현관 벤치의 벽등, 화장대의 우드 펜던트, 서재의 라인 조명, 거실 소파 위의 화이트 펜던트 등 은은한 조도와 빛으로 공간의 긴장감을 낮추고 편안함을 이끌었다. 가족들이 모이는 거실과 주방, 다이닝룸 역시 복잡한 요소들은 최대한 배제됐다. 매끈하게 도장된 벽면과 포세린 타일로 마감한 바닥, 네모반듯한 아일랜드 조리대에 천장매립형 후드까지 군더더기 없이 심플하다. 여기에 코발트 블루 컬러의 소파와 패브릭으로 세련된 감각을 더했다. 베란다를 확장해 개방감을 살린 다이닝룸도 가족들의 만족도가 높은 공간이다.윤미선 실장은 무엇보다 공간의 활용도에 집중했다. “한정된 공간에 가족들이 만족할 만한 요소들을 모두 품어야 했기에, 세대별 공간을 무조건 분리할 수는 없었어요. 공유할 공간과 개별 공간을 나누고 하나의 공간이라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았습니다.”간살파티션은 공간의 분절과 확대에 효과적이다.거실과 맞닿아 있는 부모님의 침실. 기존에 쓰던 침대를 그대로 두고 기존 침대 헤드보드와 동일한 가죽으로 월보드를 제작해 시공했다.침실 옆에 있는 문을 열면 서재와 욕실이 이어진다. 기존에 드레스룸이었던 공간을 서재로 변경, 화장대와 책상을 배치해 공간의 활용도를 높였다. 답답함을 줄이기 위해 복도를 통유리로 시공하고 문을 설치해 방과 복도 양쪽에서 오갈 수 있어 편리하다.간단한 세면용품을 올려둘 수 있도록 세면대를 넓게 제작했다.거실과 주방, 다이닝룸 등 가족이 함께 머무는 공간을 비롯해 침실과 드레스룸, 서재, 미니 가족실 등 요구된 모든 것들을 한정된 공간에 모두 풀어내야 했기에 자투리 공간까지 놓치지 않는 집중력이 필요했다. 공간의 활용은 특히 아들 부부의 공간과 부모님의 공간에서 도드라진다. 막혀 있던 비내력벽을 털어내 공간을 확장하는 동시에 새롭게 분리하는 작업을 통해 프라이빗한 공간과 소통하는 공간이 자연스레 이어지도록 했다. 턱없이 부족했던 수납공간도 해결했다. 수납의 경우 충분히 두되 답답하거나 과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었다. 전체적으로 마감재를 통일하고 최대한 심플한 디자인을 선택해 수납이 넉넉하되 부담스럽지 않도록 작업했다.공간의 재배치 역시 고심한 부분이다. 기존에는 긴 복도를 따라 세 개의 방이 이어져 있고 안쪽으로 안방과 거실, 주방이 자리해 있는 구조로, 삼대가 살기엔 다소 불편한 배치였다. 우선 독립적인 공간 구성을 위해 현관을 중심으로 2세대의 공간을 좌우로 분리했다. 좌측 2개의 방을 확장한 곳은 아들 부부의 공간이다. 입구에 간살 슬라이딩 도어를 달아두었는데 이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서면 부부 욕실, 가족실과 간이서재가 딸린 드레스룸 그리고 침실이 이어진다. 드레스룸 안쪽으로 배치된 가족실은 TV와 미니 냉장고, 노트북을 갖추고 있어 저녁 시간 부부가 함께 영화를 보거나 인터넷을 하는 등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복도의 간살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들어서면, 아들 부부를 위한 욕실과 서재 겸 드레스룸, 가족실, 침실이 마련되어 있다.옷장을 사이에 두고 안쪽으로는 침실을 배치했다.드레스룸을 지나 창가에 마련된 가족실. TV와 미니 냉장고, 소파를 갖추고 있어 저녁 시간 부부와 딸이 함께 영화를 보는 등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INTERIOR SOURCE대지위치≫대전광역시 유성구 거주인원≫ 5명(부모님 + 부부 + 자녀 1명) 건축면적≫171.88m2(51.99평) 내부마감재≫벽 - 벤자민무어 친환경 도장 / 바닥 - 마루(구정 프리미엄 강, 샌드브러쉬), 타일(포세린 타일(수입)) 욕실 및 주방 타일≫포세린 타일(수입) 수전 등 욕실기기≫ 매립수전, 아메리칸스탠다드 양변기, 콜러 세면대, 거울·수건걸이·욕실장 제작 주방가구≫ 자체 제작 가구(블럼 하드웨어, 토탈석재 빅슬랩타일 상판) 주방가전≫팔멕 스텔라 후드, 한스그로헤 수전, LG듀얼정수기, 밀레 식기세척기, 리페르 양문냉장고 조명≫ 실링팬(에어라트론), 다이닝조명(세르주무이), 포인트 벽등(루체테) 그 외 직구스위치 및 콘센트 ≫융, 르그랑 중문≫월넛 원목 슬라이딩 도어(월넛+유리), 부부침실 슬라이딩 도어(월넛 간살+미스트 유리) 파티션≫ 월넛 원목 간살(다이닝) 방문≫ 제작 - 히든 도어, 도무스 도어락 붙박이장≫자체제작 가구 패브릭≫ 헌터더글라스 전동커튼 및 허니콤 시공·설계≫ 스탠딩피쉬 디자인www.instagram.com/standing_fish슬라이딩 도어를 사이에 두어 모든 걸 갖춘 프라이빗한 룸이 완성됐다.드레스룸과는 별개로 화장대 겸 넉넉한 수납장을 추가로 두고 있어, 수납이 여유롭다.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있는 자녀의 방은 공부와 휴식 그리고 수납까지 모두 고려했다. 공주놀이를 즐기는 아이를 위한 작은 화장대가 사랑스럽다.복도를 따라 가장 안쪽으로는 부모님을 위한 공간을 배치했다. 거실과 주방을 오가며 안부를 묻고 소통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다. 노부부의 취향을 한껏 담아낸 침실은 기존의 침대에 맞춰 헤드보드를 제작하고 프렌치 스타일의 전신거울을 포인트로 전체적으로 우아하고 차분한 분위기로 연출했다. 침실과 이어진 서재 역시 독특하다. 드레스룸이 위치했던 자리에 새롭게 배치된 서재는 기존의 벽을 철거하고 유리벽을 시공해 개방감이 느껴진다. 또 복도 쪽으로도 문을 달아 부모님을 위한 공간이지만, 가족들이 오가며 소통할 수 있도록 했다. 거실에서 서재 안쪽의 욕실을 사용하기에도 편리해져 여러모로 만족도가 높은 공간이 되었다.171.88m2, 좁은 면적은 아니지만 삼대가 생활하기엔 부족할 수 있기에 각자가 원하는 바를 모두 풀어내는 것에 집중했다. 그 결과 하나의 공간에 두 개의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었다. 삼대가 모여 사는 건 때론 불편한 일일 테지만, 함께 하는 즐거움에 집중하면 그 또한 소소한 일상이 되어간다. 누군가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공간이 아닌 가족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이곳에서라면 더욱 그렇지 않을까.취재_ 최미현 | 사진_ 진성기(쏘울그래프)ⓒ 월간 전원속의 내집 / Vol.269www.uujj.co.kr* 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6,631
인기
2022.10.14
더 넓어진 광폭 강마루의 매력
국산 원목마루로 시장에서 존재감을 빛내온 노바마루가 국내 생산 최대 광폭 강마루로 트렌드를 선도할 준비를 마쳤다. 더 시원스레 넓어진 마루를 이제 더 합리적으로 누려볼 때다.블랙라벨 클래시월넛광폭마루의 바람,강마루에 불어오다마루 시장의 변화는 역동적이다. 원목마루가 본격적으로 흐름을 탄 것이 불과 3~4년 전이다. 그런데 넓은 마루에 대한 수요가 점점 커지더니 최근 1년 정도 사이에 본격적으로 광폭마루 붐이 일어났다. 업계 전문가들은 폭이 넓어 거실 등 보다 넓은 공간에 잘 어울리고, 나무 본연의 무늬를 즐길 수 있는 고급스러움이 광폭 원목마루 인기의 원동력이라고 분석한다. 국내에서 원목마루를 주력으로 선보이고 있는 켐마트코리아㈜ 노바마루 ‘K 시리즈’의 경우 190mm에 달하는 폭이 시장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트렌드의 변화로 원목마루의 폭은 빠르게 커졌다. 하지만, 강마루 대비 두 배 가까이 비싼 가격 때문에 건축주들이 선뜻 선택하기는 사실 쉽지 않았다. 그만큼 강마루 수요도 꾸준하게 이어졌다. 하지만, 원목마루의 자연스러우면서도 선명한 텍스처에 대한 수요는 강마루라고 해도 덜하지 않았다. 125, 140mm 등 점차 넓어지던 강마루는 이번에 165mm라는 국내 생산 강마루 최대 광폭인 ‘블랙라벨’ 시리즈로 정점을 찍었다.노바마루의 쇼룸에서는 예약을 통해 원목마루를 만나보고 공간에 대한 마루 모델 제안을 들어볼 수 있다.안정성과 디자인을 더한 블랙라벨의 제안광폭 원목마루처럼 강마루도 넓게 만들면 되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생각보다 공정상 쉬운 일은 아니다. 합판 위에 1.2~3mm 원목 단판이 올라가는 원목마루와 달리, 강마루에는 치장무늬필름인 HPM이라는 소재가 올라간다. 문제는 이 소재는 폭이 넓어질수록 말리려는 힘이 강해지는데, 치수안정성을 갖추면서 폭을 넓히는 건 그 동안은 기술력의 영역이었다. 이번에 노바마루에서 연구개발로 해당 이슈를 해결해 ‘블랙라벨’ 9종을 출시하였다.물론, 블랙라벨은 사이즈만이 아니다. 강마루 디자인의 핵심인 모양지는 그간 소수의 기성 패턴들을 여러 제조사가 함께 써 디자인면에서 인상적인 차별화가 쉽지 않았다. 이번 블랙라벨은 독점 디자인을 도입해 광폭일수록 더욱 중요한 패턴의 오리지널리티를 구현하고자 했다. 여기에 원목처럼 질감을 살리기 위해 동조엠보 대신 선택한 특수한 브러시 처리도 블랙라벨 강마루를 돋보이게 한다.블랙라벨의 시공에는 국내 마루 접착제 시장의 40%를 점유하고 있는 켐마트코리아의 황토풀을 추천한다. 황토 성분이 30%가 함유된 황토풀은 새집 냄새의 주범 중 하나로 꼽히는 접착제 냄새와 유해성분을 크게 줄이고 높은 접착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다.블랙라벨 9종 중에서 사전 조사와 설명회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모았던 블랑오크(왼쪽)과 헬렌티크(오른쪽). 강마루도 폭이 넓어지면서 원목마루처럼 나뭇결이나 옹이 등 텍스처가 선명하게 느껴지는 모델이 강세다.| PREVIEW BLACK LABEL |누아르블랙광폭 마루 이전부터 인기 있었던 블랙톤. 매트한 블랙이 중후한 분위기를 연출하면서 시각적인 편안함을 더해준다.블랑오크나뭇결이 선명하게 드러나 멋스러운 텍스처를 느낄 수 있는 모델. 광폭 원목마루에서도 선호되는 스타일이다.미스틱그레이화이트 톤에 살짝 섞인 그레이컬러. 무심한 듯 모던하고, 북유럽 스타일처럼 시원하면서도 가볍다.MORE TIP 광폭 강마루를 쓰기 전 알아두면 좋을 세 가지1넓게, 계단식으로 광폭 마루는 넓은 공간일수록 텍스처가 더 선명하고 공간도 넓어 보인다. 개별 방보다는 거실이나 가족실 등 시야가 트이는 큰 공간에 계단식 시공을 권장한다.2조각 대신 크게 보기 모든 마루, 특히 원목마루는 단판마다 컬러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작은 샘플 조각이 아니라 여러 장을 붙여본 모습을 봐야 정확한 의도대로 고를 수 있다. 3섞어서 시공하기 시공 시에는 마루 포장을 뜯은 직후 섞어주는 게 좋다. 생산 시 순서대로 쌓인 반복 패턴이 섞이면서 전반적으로 더 자연스러운 텍스처 연출을 기대할 수 있다.발렌시아오크예전에는 하자처럼 여겨지기도 했지만,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요즘은 옹이 표현도 스타일로 받아들여진다.세이지그레이미스틱그레이 모델보다 살짝 톤이 다운돼 묵직한 무게감이 있는 모델이다.헬렌티크살짝 붉은 기가 도는 진한 컬러에 풍부한 텍스처로 광폭 모델에서 블랑오크 모델과 함께 가장 주목받고 있는 모델이다.도움말_켐마트코리아㈜02-575-8400 | www.nova-design.co.kr취재_신기영| 사진_변종석, 브랜드 제공월간 <전원속의 내집>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6,599
인기
2022.10.14
각양각색 타일 활용법
다양한 질감과 패턴 연출에는 타일만 한 게 없다. 때로는 단순하게, 때로는 톡톡 튀게 다채로운 변주를 보여주는 주택 속 타일 인테리어.확실한 존재감의 주방 공간• • •B house다양한 요소를 활용하되 컬러에 제한을 두면 과하지 않으면서도 개성 넘치는 공간을 만들 수 있다. 거실과 주방, 다이닝 공간이 한눈에 들어오는 크지 않은 집이라 타일로 공간을 분리하여 포인트를 주었다. 물을 주로 사용하는 주방은 정사각 화이트 타일을 바닥에 시공해 사용의 편리성을 더하는 동시에 빈티지하면서도 깔끔한 인테리어 콘셉트를 유지해준다. 주방 전면의 아기자기한 패턴 타일은 화이트&우드 인테리어와 잘 어울리는 컬러와 독특한 디자인으로 공간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 W-BASIC 145×145(mm) 윤현상재 / Confetti RM 203 O 200×200(mm) 대제타일개방감 있는 현관• • •husk작은 공간을 눈에 띄는 패턴 디자인의 타일로 마감하는 경우 공간이 분리되어 보여 더 작아 보일 수 있다. 이 집은 전체 평면에 비해 현관이 작은 구조라 마루의 색상과 최대한 비슷한 톤의 타일로 마감하고, 얇은 프레임의 중문으로 거실과 현관이 하나의 공간처럼 개방감을 가지도록 계획했다. 현관 한쪽 벽 역시 거실의 벽처럼 연결되어 보이도록 폴딩도어 방식의 워크인 신발장을 계획해 긴 복도의 느낌을 이어가도록 했다. Mexicana white 600×1200(mm) 윤현상재경쾌한 컬러 매치• • •3ab드레스룸 일부를 벽과 슬라이딩 도어로 가리고, 욕실로 가는 통로와 욕실을 과감한 딥그린 컬러로 통일해 작지만 강렬한 인상의 공간을 완성했다. 과감한 컬러 때문에 자칫 공간이 답답해 보이지 않도록 욕실 바닥에서 벽의 절반까지만 그린 컬러의 타일을 시공했다. 타일 컬러와 페인트 컬러를 최대한 비슷하게 매치하고 싶다면, 타일을 먼저 고른 후 타일 샘플을 가져가서 페인트 조색을 하는 걸 추천한다. 통로의 바닥은 욕실 상부와 같이 화이트 컬러의 넓은 타일로 마감해 깨끗한 느낌이다. Fragments Resin milk white 600×600(mm), Pittorica 10M 250×250(mm) 대제타일벽과 바닥을 하나로• • •NovabellⓒNovabell벽과 바닥을 큰 사이즈의 타일 한 가지 종류로 마감해 군더더기 없이 시원한 공간감을 강조한 거실. 자연스러운 음영과 질감이 도시적이고 세련된 분위기를 풍긴다. 바닥은 정사각, 벽은 직사각 비율 커팅한 타일로 변화를 주어 지나치게 단조롭지 않으면서도 안정감 있다. PARIS PLUME 600×600(mm) 윤현상재독창적이고 자유로운 패턴• • •MUTINA재기발랄 상상력 넘치는 공간, 키치한 인테리어를 꿈꾼다면? 과감한 컬러와 패턴 디자인으로 타일 자체가 장식이 되는 인테리어를 연출해보자. 원색을 쓸 때는 보색을 선택하면 선명한 대비로 강렬하고 감각적인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다. 단순하지만 그래픽이 강조된 패턴 타일은 단색 타일이나 페인트와 적절히 조합하면 부담스럽지 않다. 한쪽 벽에 패턴 벽지처럼 연출하거나 욕실이나 현관처럼 크지 않은 공간에만 포인트를 주어도 좋다. MARGHERITA 205×205(mm) 윤현상재긴 복도가 된 현관• • •husk여러 종류의 다른 마감재를 쓰더라도 톤을 맞추면 공간이 훨씬 확장되어 보인다. 길게 이어진 현관과 복도를 강조할 수 있도록 화이트 톤으로 구성하고, 대형 직사각 타일을 세로 방향으로 마감했다. 현관부터 복도까지 이어지는 벽체를 따라 타일도 함께 꺾이며 통일된 공간감을 가진다. Tune snow soft 600×1,200(mm) 윤현상재자갈이 깔린 듯한 테라스• • •어나더그로우테라스 바닥에 작은 콩자갈을 깐 듯 보이지만, 이 또한 타일이라는 사실. 컬러가 믹스된 콩자갈 타일을 바닥과 벽 하단에 마감해 휴양지에 온 듯 이국적인 테라스 공간을 연출했다. 실제 콩알 사이즈 자갈을 모자이크 형태로 만든 타일로, 사계절 즐기기에 매력적이고 관리도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콩자갈 멀티 컬러 300×300(mm) 대제타일한 가지 색, 다양한 질감• • •3ab작은 면적, 일반적인 배치의 게스트 욕실을 전형적이지 않은 스타일로 풀기 위해 타일, 거울, 조명 등을 무심한 멋이 있는 것들로 선택했다. 벽과 바닥의 타일은 색을 통일하되 다른 비율과 질감의 제품을 적용하고 벽 상부와 천장은 솔리드한 흰색으로 마감해, 하나의 톤이지만 밋밋하지 않다. 특히 벽면 타일은 특유의 광택과 면이 고르지 않은 질감으로 색다르게 느껴지며, 긴 직사각형 타일은 가로로 배열하면 안정적이고 시원한 느낌을 준다. 참고로, 타일을 고를 때는 실제 사용하게 될 조명의 색온도, 자연광 등 다양한 환경에 놓고 타일 색감을 살펴보는 것이 좋다. 흰색처럼 보이지만 시공하고 보면 회색빛이 강하거나, 차가운 회색을 원했는데 실제 현장에서는 카키색이 돌 수도 있다. Pittorica M4 250×250(mm), Lume White 60×240(mm) 대제타일타일로 만든 정원• • •윤현상재ⓒSpace B-EⓒSpace B-Eⓒ YOUNHYUN무엇에 둘러싸여 느낄 수 있는 감도, ‘위요감(圍繞感)’을 주제로 타일의 다양한 쓰임을 선보였던 전시. 지난 5월 열린 서울리빙디자인페어의 윤현상재 부스에서는 벽과 바닥, 계단, 액자, 테이블 등을 타일로 마감한 정원을 만날 수 있었다. 복고풍 색과 질감의 직사각 타일을 가로세로 배열을 혼합해 연출했는데, 한 종류의 타일로도 색과 배열, 형태 디자인 등의 변화로 다채롭게 표현할 수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초록빛 타일과 합판 마감의 테이블, 모자이크 방식의 타일 액자는 타일이 적용되는 범위의 한계와 고정관념을 무너뜨린다. 베란다 정원, 작은 주택 테라스 정원에 응용해볼 만한 아이디어다. 454 VARIOUS COLOR ⓒSpace B-E 45×195(mm) 윤현상재취재협조비하우스https://blog.naver.com/b-house3abhttp://3ab.kr어나더그로우www.anothergrow.com윤현상재www.younhyun.comhusk http://husk.co.kr취재_조고은| 사진_브랜드 제공ⓒ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69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6,367
인기
2022.06.21
요리와 담소, 여유를 즐기는 다이닝룸
DINING ROOM IDEA밥을 먹을 때도, 차를 마실 때도, 책을 읽을 때도식탁에 앉아 시간을 보내는 일상의 장면들.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품은 다이닝룸 인테리어.CONVENIENCE높은 층고가 깊이감을 더하고 큰 창에서 들어오는 햇살이 따스하다. 한가운데 넓은 테이블을 두어 여유롭게 구성하고 한쪽 하단에는 빔프로젝터를 설치해 영화를 볼 수 있게 했다. 주방은 벽으로 분리하되 기존 주택의 기둥을 활용해 다이닝룸과 바로 소통할 수 있는 개구부를 만들었다. 기둥 옆에는 세라믹 식탁을 제작해 간단한 간식을 먹을 때 유용하다. 카멜레온디자인기존의 주방을 주방 베란다 쪽으로 이동하여 독립적인 다이닝 공간을 만들었다. 기존 벽체만으로는 좁은 감이 있어 가벽을 세워 면적을 확보하고, 수납이 가능한 벤치를 제작했다. 주방과 다이닝 공간 사이 벽에는 작은 창을 내어 자연광을 확보하고 주방에서 음식을 내어주거나 소품을 장식하는 용도로도 활용한다. 옐로플라스틱ⓒ레이리터커다란 창이 있는 주방 앞 공간에 꼭 필요한 것만 두어 따뜻하게 꾸민 다이닝룸의 정석. 화이트로 간결하게 정돈한 공간에 컬러풀한 그림을 걸어 포인트를 주었다. 손님맞이가 잦은 집인 점을 고려하여 벽 한쪽에 외투를 걸어둘 수 있는 옷장을 설계했다.제이곱디자인DESIGNⓒ레이리터주방과 마주한 벽에 벤치를 제작하여 아늑한 다이닝룸을 마련했다. 화이트와 차분한 그레이, 우드로 톤을 통일하고 단순한 곡선 디자인의 조명, 테이블, 의자 등을 매치했다. 복도와 접한 경계에는 곡면의 유리 파티션을 제작 설치해 공간을 구분하되 답답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림디자인ⓒ정우석현관부터 시작되는 하부장과 다이닝, 주방가구를 일체감 있게 제작해 나머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인 사례. 현관에서 주방으로 이어지는 동선을 간결하게 정리해주고 일자형 아일랜드보다 형태적으로도 유니크한 느낌이다. 간단한 식사가 가능한 다이닝 공간은 라운드 형태로 디자인하여 서로 비스듬하게 앉아 마주 볼 수 있다. 플립360바닥의 단을 높여 별도의 공간으로 거실과 주방 및 다이닝룸을 완전히 분리해 레스토랑에 온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부드러운 곡선의 출입구가 우아한 분위기를 내고, 창의 유리블록은 외부 시선을 차단해주는 동시에 은은한 자연광으로 포인트가 되어준다. 창턱에는 TV를 놓을 수 있도록 콘센트, 인터넷 배선을 미리 매입했다. 옐로플라스틱home cafeTV와 소파의 전형적인 공식에서 벗어나 거실에 다이닝룸을 두는 집을 이제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자재 선택의 경계도 무너진 지 오래. 상업시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테라코타 타일을 주방과 다이닝룸에 통일성 있게 시공하고 오크 광폭 원목마루로 무게감을 잡아 트렌디한 홈 카페를 완성했다. 디자인코멘트ⓒArchframe출입창을 통해 마당에서 바로 드나들 수 있는 다이닝룸. 가구와 조명, 오디오, 그림 작품이 어우러져 마치 갤러리에 온 듯한 기분이 든다. 대면형으로 구성한 주방은 마주 보는 벽에 창을 내어 바깥 경치를 즐길 수 있게 했고, 식탁에 앉은 이들 역시 또 하나의 그림처럼 감상할 수 있다. 엔진포스건축사사무소주방과 연결된 거실에 벽 선반을 설치하고 펜던트 조명 아래 테이블을 놓아 내추럴 빈티지 스타일의 서재 겸 다이닝룸을 연출했다. 조리대 앞쪽에는 오픈형 선반을 만들어 카페 카운터 같은 분위기를 낸다. 카멜레온디자인취재협조디자인코멘트www.designcomment.co.kr림디자인http://rimdesignid.com옐로플라스틱www.yellowplastic.co.kr제이곱디자인www.j2gob.design카멜레온디자인www.chameleon-design.co.kr플립360www.flip360.co.kr취재_조고은ⓒ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66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7,014
인기
2022.06.21
공간과 재료로 풀어낸 주택 내외부 디테일
우리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해 조금 더 특별한 집을 짓고 싶다면, 해외의 다양한 고민의 결과물에서 아이디어를 얻어보자.ENTRANCE집으로 향하는 길▲ 진입 계단을 실내로 끌어들여 인테리어 요소로 적극 활용했다. nendo▲ 2층에 바로 진입할 수 있는 경사로를 만들어 이동을 돕는다. kwk promes외부요소로만 여겨졌던 디딤돌과 데크로 이어지는 흔한 진입로가 심심하다면 여기에 디자인과 이동 편의성, 기능성을 얹어보자.MATERIAL주변에서 구한 건축 재료▲ 주변에 나는 석재를 외장재로 사용해 색감에서도 어색함이 없다. Rafael Schmid Architekten▲ 마을의 구옥을 철거하지 않고 외관 일부를 그대로 재활용했다. Fuertespenedo Arquitectos새로 들어서는 주택이 지역과 환경에 스며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주변 건축물이나 재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ROUND SPACE사각 대신 둥근 평면▲ 계단도 곡선을 따라 두면 풍성한 볼륨감을 살릴 수 있다. acme▲ 높은 천장 아래 각 방을 박스처럼 만들어 독특한 공간감을 준다. Studio velocity원형 공간은 복잡함과 비효율성을 이유로 피하곤 하지만, 세심하게 설계가 이뤄진다면, 둥근 집은 가족만의 독특한 정체성이 되어준다.ROOFING자연을 닮은 지붕▲ 마치 낙엽이 쌓인 것처럼, 여러 겹의 곡선 지붕을 겹쳐놓았다. KIAS(Kentaro Ishida Architects Studio)▲ 경사면을 그대로 이어 지붕 위에 자연을 얹었다. Aires Mateus주택의 표정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지붕. 자연을 품은 주택을 추구한다면, 지붕 디자인도 자연의 일부가 되는 것이 당연하다.INSIDE-OUT안과 밖을 넘나드는 공간▲ 타공 금속판과 콘크리트 벽으로 정원을 감쌌다. 51N+E▲ 폴리카보네이트 처마를 마당으로 길게 뺐다. Fujiwaramuro Architects아파트와 달리 주택은 실외 활동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만큼, 중간 전환공간이나 중성적인 성격의 공간은 일상을 더욱 생동감 있게 만들어준다.취재_신기영 ⓒ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65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06-21 09:23:14 HOUSE에서 이동 됨]
관리자
조회 7,108
인기
2022.06.09
가족의 로망이 반영된 상가주택 인테리어
우리의 시간을 마음 놓고 맡길 수 있는 집을 찾아 드디어 발견한 곳. 가족의 추억이 집 안 곳곳에 하나 둘 쌓여간다.경기도 시흥시 은계지구에 신축된 상가주택. 이곳의 4층에 주거공간을 마련한 가족은 그들에게 꼭 맞는 집을 만들고 싶었다. 인테리어 키워드는 ‘휴식’과 ‘추억’. 언제든 편히 쉴 수 있고, 아이가 커가면서 다양한 체험을 함께 아로새길 수 있는 곳. 여기에 다락을 활용하는 등 오랜 로망을 품고 집을 온전히 가족을 위해 꾸며줄 업체를 찾아다녔고, ‘홍예디자인’을 만나 그 꿈이 구체화되었다.하부장을 두어 수납을 확보한 현관. 한쪽 벽에는 그림을 걸어 화사하게 연출했다.가족이 가장 오랜 시간 머무는 거실은 심플하면서도 안락하게 꾸몄다.POINT 1_여러 기능을 갖춘 계단실 계단실 옆의 여유 공간은 작품을 전시하고 자주 쓰이는 물건을 놓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계단을 따라 유리 난간을 설치해 안전성은 물론, 더욱 개방감이 느껴지는 실내 인테리어를 완성했다. POINT 2_실용성과 쾌적함을 갖춘 보조주방슬라이딩 도어 안쪽으로는 보조주방을 마련했다. 이곳에는 냉장고와 세탁기, 건조기를 두고, 싱크볼과 가스레인지를 설치해 간단한 손빨래를 하거나 냄새나는 음식을 마음껏 조리할 수 있다. POINT 3_가족의 추억이 쌓여갈 발코니 방을 하나 더 내는 대신 발코니를 만들었다. 외부와 개방된 느낌으로 가족이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이다. 여름이면 이곳에서 물놀이를, 겨울이면 눈사람 만들기를 즐길 수 있다.유광 대형 타일로 힘을 준 주방. 대리석 무늬가 이어지며 예술적인 포인트가 되어준다.계단실 옆과 복도 끝에는 그림을 걸어두고 지나가며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거실에서 곧바로 이어지는 다이닝룸과 주방은 실용적이면서도 여유를 품은 공간이다. 발코니를 마주하는 다이닝룸에서는 가족의 단란한 식사가 이루어진다. 주방의 중심에는 3m에 달하는 아일랜드를 놓았다. 요리하는 동안에도 그 너머로 아이를 돌볼 수 있고, 간단하게 바로 식사하기에도 좋게끔 대면형 구조로 만들어 활용도를 높였다. 창가에는 하부장을 두어 주방가전들을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안쪽으로는 보조주방이 있어 더욱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실내는 넓게 확장되어 있으면서 동선의 편의를 고려한 긴밀한 연결성으로, 허전한 느낌이 아닌 촘촘한 구성으로 다가온다. 복도를 지나면 사적인 공간이 자리하는데, 안방은 그 안으로 드레스룸과 욕실을 품었다. 아늑한 침실과 이어지는 드레스룸은 스타일러와 화장대까지 콤팩트하게 갖춰 효율적인 쓰임새가 돋보이며, 그 안으로는 길게 세면대를 둔 욕실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이방 역시 방 안에 들어서면 공부방과 침실, 드레스룸까지 곧장 이어지게끔 만들었다. 공부방은 지금은 엄마의 서재로도 쓰이고, 세 식구가 즐거운 놀이 시간을 보내는 곳으로도 활용되지만, 앞으로 아이가 자라면 그에 맞게 용도가 달라질 것까지 세심히 배려해 설계한 공간이다.심플하게 꾸민 침실. 침대 프레임 쪽에는 벽부등과 다크 그레이 컬러로 포인트를 주었다.콤팩트하게 구성한 드레스룸 안쪽으로는 비비드한 컬러로 꾸민 파우더룸과 모서리에 거울을 두어 넓어 보이는 효과를 준 욕실이 자리한다.INTERIOR SOURCE대지위치≫ 경기도 시흥시거주인원≫ 3명(부부 + 자녀 1) 건축면적≫ 152m2(46평)단열재≫ 경질우레탄보온판 2종 1호 140T 창호재≫ LG하우시스 슈퍼세이브 7|에너지원≫ 가스보일러 내부마감재≫ 벽 - 던에드워드 친환경 도장, 개나리 벽지 / 바닥 - 원목마루|욕실 및 주방타일≫ 팀세라믹, 티엔피세라믹 수전 등 욕실기구≫ 아메리칸스탠다드 주방 가구·붙박이장≫ 제작 조명≫ 도우라이팅, 대광조명 계단재·난간≫ 철제 난간 에폭시 및 도장 마감 / 통유리 난간 현관문≫ 단열방화문 + 도장|중문≫ 이노핸즈 방문≫ 영림도어 + 던에드워드 도장 마감|벽난로≫ 삼진벽난로 시공≫ 홍예디자인 / ㈜야탑종합건설 설계≫ 마당건축 인테리어 디자인≫ 홍예디자인 02-540-0856 https://blog.naver.com/only3113아이 공부방. 책장형 슬라이딩 도어를 열면 침실으로 들어갈 수 있다.아이방 침실 안쪽으로는 다시 드레스룸이 이어진다.아빠의 작업 공간이자 부부가 오붓한 시간을 함께 하기도 하는 서재. 채광이 좋아 오래 머물러도 답답하지 않다.계단을 오르면 이 집의 백미, 다락과 마주하게 된다. 가족의 오랜 꿈이 이루어진 곳으로, 한쪽으로는 서재가, 다른 한쪽으로는 아이의 놀이방이 펼쳐진다. 서재는 아빠의 바람대로 사방이 전부 책장으로 채워졌다. 한편에는 벤치를 두어 부부는 나란히 앉아 책을 읽고 서로의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으며, 언제든 함께 이야기 나누는 특별한 장소를 또 하나 얻었다. 맞은편 아이 놀이방에는 천장의 경사 하부를 활용해 벙커를 만들었다. 이곳에서 잠을 청할 수도 있고, 조명을 켜고 작은 카페 놀이를 할 수도 있어 아이가 즐겨 찾는다고. 다락은 드레스룸과 수납 창고로도 쓰이며 멀티룸으로서의 역할 또한 훌륭히 해낸다. 집의 남는 공간이 아닌,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더욱 즐겁고 편리하다.(위, 아래) 천장의 경사 덕분에 아지트를 연상케 하는 아이 놀이방. 꼬마 손님이 방문하는 날에는 이곳에서 레터링 조명을 켜고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각 공간은 내추럴하게 이어지며 가족의 추억을 담는다.인테리어가 마무리된 이후, 가족은 집에 오래 머무르는 동안에도 다양한 공간에서 지루하지 않은 시간을 보낼 수 있어 만족하고 있다고. 집 안 곳곳에는 건축주 부부의 취미를 살려 남편의 사진과 아내의 그림이 채워질 예정이다. 예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생활하기에도 편리하고, 언제든 마음 놓고 쉴 수 있는 곳. 가족의 로망은 그렇게 보고, 만지고, 느끼며 함께 쌓아가는 시간들로 지금도 현재진행형으로 실현되고 있다.취재_송경석| 사진_진성기(쏘울그래프)ⓒ 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65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7,793
인기
2022.06.09
향기를 파는 가게들
작은 한 점의 불빛으로 분위기를 화사하게 바꾸어주는 캔들. 은은하고 매력적인 향은 뜻밖의 선물처럼 기분을 나아지게 만든다. 여기, 향을 다듬고 판매하는 가게 여섯 곳을 소개한다.플레이위드센트브랜드 이름 ‘play with scent’처럼 가볍게 향기와 놀 수 있는 제품들을 만들고 판매하는 곳. 동물 모양 캔들, 익숙한 분위기의 성냥, 룸스 프레이 등 여러 제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내부는 알록달록한 색상의 캔들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화이트 톤으로 꾸몄다. 가게 한편에는 녹아내린 촛농 자국을 그대로 간직한 테이퍼 캔들이 놓여 있어, 그 자체로 멋진 인테리어 소품이 된다. 산뜻한 마음으로 방문해 자신의 소소한 취향에 맞는 제품을 골라보자.매장주소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38안길 11-1 1F 전화번호 010-3284-3246 영업시간 13:00~20:00(화요일~토요일) 홈페이지 www.playwithscent.co.kr처음 캔들 구매 시 TIP 아이보리 톤의 심플한 모양 캔들부터 시작하면 실패할 확률이 적다. 어느 공간에나 잘 매치되며, 오래 보아도 질리지 않기 때문이다. 또, 용기에 담겨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컨테이너 캔들도 좋은 선택이다. 무엇보다 향에 대한 개인의 취향은 제각각이므로 처음에는 너무 강하지 않은 향 또는 마음에 드는 향으로 고르도록 한다.라잇롸잇노란 조명과 빈티지한 인테리어가 돋보이는 캔들숍. 들어서는 순간부터 문밖의 세상은 잠시 잊은 채 지친 몸과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다. 동글동글한 탑 모양의 디자인 캔들과 고급스러움을 자아내는 로얄 캔들은 어디에 두어도 어울리는 클래식한 멋이 있다. 오랜 직장생활에 지칠 무렵 소품샵을 다니며 그곳의 분위기와 향에 위로를 받았다는 대표의 마음이 담겨 있어, 잔잔한 음악과 기분 좋은 향기 속에서 힐링의 시간을 갖기에 안성맞춤이다.매장주소 대전광역시 서구 용소로43번길 14 전화번호 050-6020-3967 영업시간 12:00~20:00(화요일~일요일) 홈페이지 www.instagram.com/lightright_굿밤구입하는 사람, 받는 사람 모두에게 행복감을 선사하는 캔들. 왁스의 성분을 이용해 무궁무진한 형태로 제작된 소품들이 옹기종기 모인 이곳은 마치 선물가게 같다. 두 손을 모으고 있는 포즈의 보니또(곰돌이) 캔들과 디테일한 디자인 탓에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케이크 모양 캔들이 눈을 즐겁게 한다. 심플한 매장 내부는 오로지 캔들 및 판매 소품으로만 채워져 있다. ‘오늘은 또 어떤 모양의 캔들이 놓여 있을까?’ 궁금해지는 곳이다.매장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91번길 39-1 태왕프라자 602호 전화번호 070-8713-0014 영업시간 11:00~20:00(화요일~일요일) 홈페이지 www.instagram.com/goodbam_scent캔들 사용 시 주의사항 TIP 캔들은 사용할 때마다 심지를 반드시 5mm 정도로 짧게 잘라서 사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불꽃의 길이가 세지고 그을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입에서 바람을 내보내 불을 끄기보다는 전용 윅디퍼를 사용하면 더욱 깔끔한 연소가 가능하며, 그 후 왁스가 천천히 굳어가며 내는 향을 즐길 수 있다. 물론, 캔들 사용 후 환기는 선택이 아닌 필수임을 잊지 말자.미미더느낌갖가지 색상과 향료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 늘 새로운 작품이 탄생하는 것 또한 캔들의 매력. 미미더느낌은 여러 가지 도형 모양의 캔들부터 디저트 뷔페를 방불케 하는 맛있는(?) 캔들까지, 질리지 않고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유행을 따라가지 않고 주인장의 취향을 반영한 제품들은 어디서 보아도 ‘미미표’라는 꼬리표를 달고 다닌다고. 심플함, 빈티지함, 귀여움, 다방면으로 선택 가능한 캔들 뷔페에 초대받아 입장해보는 것은 어떨까?매장주소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522번길 52 1F 전화번호 010-9379-9686 영업시간 11:00~21:00(방문 예약) 홈페이지 www.instagram.com/mimi_the_feelDSTL디스틸‘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것, 숨을 멈추지 않는 한 우리 삶과 절대 떨어질 수 없는 것’. 그렇지만 향을 즐기는 행위를 여전히 어렵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이런 이들을 위해 향을 구체화하고 실감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이끌어주는 곳, 디스틸의 향들은 전문 조향사가 직접 만든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래된 나무, 깨진 돌, 젖은 이끼 등 향의 기원이 되는 자연물과 함께 조화롭게 놓인 제품들은 찾아온 이들의 취향과 추억을 되살린다.매장주소 서울시 용산구 신흥로11길 4 1F 전화번호 070-4234-5678 영업시간 13:00~22:00(코로나 행정명령 시 21:00) 홈페이지 www.instagram.com/dstl.official캔들을 활용한 인테리어 TIP 캔들을 소품으로 둘 땐 여러 개를 옹기종기 모아놓으면 더욱 예쁘고, 취향에 따라 오래된 접시, 우드코스터 등을 캔들 받침으로 사용하면 더욱 운치 있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캔들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벽에 걸어두는 것이 가능한 왁스타블렛은 좁은 공간, 특히 현관에 걸어두기 좋아 집에 들어오는 순간부터 좋은 향기를 느낄 수 있다.아뜰리에 릴리무지개초, 오팔초, 바다 캔들 등 강릉의 바다와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작품을 만드는 아뜰리에 릴리. 신비롭고 소녀스런 감성이 묻어나는 가게 안으로 파도가 밀려왔던 적이 있던 것일까? 흔하지 않은 창작 소품들로 가득한 이곳에서는 세월이 잠시 느릿느릿 흐르는 듯하다. 작업을 하는 동안 오롯이 몰두하는 그 시간이 곧 힐링이라는 대표의 말처럼, 가게를 방문하는 이들 역시 이끌리는 향을 찾아 나 자신에게 집중해보는 것도 좋겠다.매장주소 강원도 강릉시 임영로 192 전화번호 010-3008-2440 영업시간 12:00~18:00(화요일 휴무) 홈페이지 www.instagram.com/atelier_lily_구성_ 송경석ⓒ 월간 전원속의 내집 / Vol.265 www.uujj.co.kr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06-09 17:53:13 HOUSE에서 이동 됨]
관리자
조회 6,030
인기
2022.05.31
내 손으로 직접 만든 '대형견을 위한 집'
집짓기 예산은 늘 한정적이고 필요한 것은 많다. 마음에 꼭 드는 제품은 너무 비싸다. DIY를 통해 이 난관을 먼저 극복한 선배 건축주들의 조언을 받아보자. 그 열아홉 번째 순서는 ‘대형견을 위한 집’이다.DIY FAMILY안녕하세요. 더 나이 들기 전에 내 손으로 집을 지어보자는 생각으로 귀촌해 직접 집을 짓고, 인테리어도 손수 해가며 조금씩 고치고 덧대며 살고 있는 50대 초반 부부입니다. 남편은 집을지었고 아내는 ‘88번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여러 사람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15년 이상 함께 살 또 다른 가족인 반려견에게도 좋은 집을 지어주고 함께 행복하게 살고 싶은 바람으로 우리 ‘초이’ 집을 직접 만들어보았습니다.준비물아연 각파이프, 샌드위치 패널, 방부목, 아스팔트싱글 등 총 비용약 55만원 작업기간2인 10시간 난이도★★★☆☆PROCESS① 목재·각재 재단집은 대형견이 여유롭게 살 수 있는 2×1.5×1.5(m) 크기로 만들었습니다. 각 부분에 맞게끔 목재와 아연 각파이프를 재단해줍니다. 평평한 모양의 집이 아니기 때문에 목재·각재를 재단할 때 각도자, 직소기 등을 활용하면 좀 더 편리합니다.② 골조 만들기재단을 마친 아연 각파이프를 용접해 집의 모양에 맞게 튼튼한 골조를 만들어줍니다. 일반 집과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바닥을 땅으로부터 10cm 정도 띄워주는 것입니다. 바람은 잘 통하면서 그와 동시에 빗물이나 습기는 예방하기 위함입니다.③ 밑면 마감집의 밑면에는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고 따뜻한 실내 온도를 유지해주기 위해 50mm 두께의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더욱 안정감 있게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위에는 방부목으로 마감해 주었습니다.④ 벽면 마감50mm 두께로 스티로폼을 재단해 벽면에 끼우고, 외벽과 내부에는 12cm 방부목을 붙여 나사못으로 꼼꼼하게 고정시켜줍니다. 비바람에 최대한 썩지 않고 오래 버틸 수 있는 기능성과 자연친화적인 이미지를 고려한 선택입니다.⑤ 지붕 덧대기먼저 바닥에 사용했던 샌드위치 패널로 지붕면을 만들었습니다. 그 위에 아스팔트싱글(6각 노을색)을 덧대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나사못으로 고정시킵니다. 여기에 한 가지 더, 겹치는 부분으로는 빗물이 새어들지 않게끔 실리콘을 붙여줍니다.⑥ 우드스테인 칠마지막으로 외벽과 바닥면 등에 우드스테인(연황토색)을 칠해줍니다. 지붕은 따로 칠할 필요가 없지만, 나무로 된 부분은 쉽게 썩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바람에 의한 탈색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더하는 작업입니다.건축주 TIP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집의 아랫부분에 회전바퀴를 달아두어 옮기기 쉽게 만들었습니다. 또, 집에 창문을 설치해 반려견이 오래 지내면서 답답하지 않을 수 있게 했습니다. 햇볕과 빗물 등을 막을 수 있게끔 창문 위로 처마를 만들어주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구성_송경석 | 자료제공_88번지 유튜브 채널ⓒ 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65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6,256
인기
2022.05.31
아이 있는 집을 위한 봄맞이 인테리어 바닥재 제안
FLOORING FOR KIDS뛰다가 넘어져 다칠까 걱정, 떨어진 물건이 쉽게 깨어져 위험할까 걱정. 아이가 있는 집은 뭐 하나 고르기도 까다로운 법이다. 가족의 주택 생활을 한층 안전하고 건강하게 지켜줄 바닥재를 한자리에 모았다.ⓒLG하우시스TEMPORARY대대적인 공사가 불가능한 상황이거나 아이가 크는 기간에만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기존 바닥재 위에 셀프 시공이 가능한 매트 바닥재를 추천한다.장판처럼 시공하는 롤 매트넓은 면적에 빈틈없이 펼쳐 시공하므로 설치에 드는 수고가 가장 적다. 카펫처럼 까는 방식이라 들뜨는 부분이 생길 수 있는데, 이는 전용 픽스 테이프를 이용해 부착한다. 리코코 셀프 시공 롤 매트는 두께 1.5cm와 2.2cm 중 선택할 수 있고, 2중 구조의 PE 폼으로 충격과 소음을 완화해준다. 무독성 접착 방식으로 제작해 안심이며 논슬립 필름 적용으로 바닥과 밀착해 미끄러짐을 최소화한다. 탈취를 위한 화학약품 처리를 별도로 하지 않기 때문에 PVC 소재 특유의 냄새가 날 수 있으니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며칠 환기시킨 후 사용하기를 권한다.꿈비타일처럼 짜 맞추는 퍼즐 매트접착제 없이 여러 장을 조립, 연결하는 방식으로 낱장의 크기와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연출할 수 있다. 틈이 많아 음료 등의 액체가 흘러 들어가거나 먼지가 끼기 쉬운 것은 단점이지만, 이음새 간격을 최소화한 제품도 속속 선보이는 추세다. LG지인 안심매트는 매트한 질감, 심플하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눈길을 끈다. 매트 하부의 고탄성 쿠션층이 생활 소음 완화에 도움을 주며 아이들이 넘어졌을 때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TPU 바닥 매트로는 유일하게 한국공기청정협회의 ‘HB 마크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LG하우시스매트 선택 체크리스트□ 어린이 제품 안전기준 ‘KC인증’을 획득했는지 : 아이가 사용하기에 안전한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인증 마크다.□ 생활 오염의 제거가 쉬운지 : 각종 음식물 오염, 아이가 한 낙서 등이 쉽게 지워지고 긁힘에 강한 표면 코팅 처리가 된 제품인지 확인한다.□ 잦은 눌림에도 변형이 적고 복원력이 뛰어난지 : PVC, PE, PU 소재로 쿠션감을 강조한 매트는 무겁거나 뾰족한 물건을 장시간 올려두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제품 두께가 적당한지 : 두께는 약 1~2.2cm로 다양한데, 두껍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므로 보행감, 바닥 난방, 가구, 라이프스타일 등을 두루 고려한다.PERMANENT집을 새로 짓거나 리모델링을 준비 중이라면, 바닥재를 선택할 때 충격 완화, 차음, 미끄럼 방지 등의 기능을 갖춘 제품인지 확인해보자.편백 오일을 첨가한 시트 바닥재아토피 안심 마크를 취득한 숲 바닥재는 표면의 논슬립 코팅에 편백 오일을 함유하여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더한 친환경 바닥재다. 그중 5mm와 4.5mm 두 가지 두께로 출시된 ‘숲 휴가온’은 고강도 투명층과 고탄력 쿠션층을 동시에 적용한 듀얼 공법으로 찍힘 및 긁힘에 대한 내구성은 물론 청소·관리의 편의성, 충격 흡수 및 소음 저감 효과를 더욱 높였다. 동조 엠보 기법과 3D 디자인으로 대리석, 석재, 원목 등의 사실감을 살린 16종의 패턴을 선보인다.KCC글라스자연에서 온 코르크 바닥재나무의 껍질만 벗겨내는 방법으로 채취,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코르크는 단열, 방음, 흡음, 습도 조절, 탈취, 항균 등의 효과를 지닌 자연 소재다. 실내 공기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며, 탄성과 미끄럼 방지 기능이 탁월하여 아이의 안전은 물론 노약자의 관절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100% 코르크로 제작된 ‘퓨어 코르크 플로링(Pure Cork Flooring)’은 물청소가 가능한 정도의 방수 성능을 더해 기존 코르크 바닥재의 단점을 보완했다. 주거용은 물론 상업 공간, 사무 공간 등을 위한 중보행용으로도 손색없다.코르크포유고탄성 2중 쿠션층을 적용한 시트 바닥재LG지인 엑스컴포트의 고탄성 2중 쿠션층은 푹신한 상부층과 탄성력이 높은 단단한 하부층으로 나뉜다. 이는 보행 충격을 줄여주면서도 발이 푹 꺼지지 않도록 밀어주어 보행감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에 닿는 표면층에는 옥수수에서 유래한 식물성 수지를 적용했으며, 환경부가 부여하는 ‘환경표지인증’을 획득했다. 다양한 천연 소재의 질감과 특성을 실제와 가깝게 구현한 우드 패턴 8종, 대리석 패턴 4종 등 총 12종의 패턴으로 만나볼 수 있다.LG하우시스비접착식 충격 흡수 기능 바닥재접착제를 쓰지 않고 시공 가능해 한층 건강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바닥재도 있다. 시트 자체로 바닥에 안착되어 밀리지 않는 비접착식 제품인 모듈업은 기존 바닥의 철거 없이 시공할 수 있으며, 철거 후 기존 바닥을 재사용할 수도 있다. 충격 흡수, 소음 감소 기능을 갖춘 것은 물론 눌림에 대한 복원력이 뛰어나 오랜 기간 변형이 없고, 0.7mm의 두꺼운 코팅층을 가지고 있어 월등히 높은 내구성을 자랑한다. 콘크리트, 스톤 등 유럽 감성의 모던한 패턴 디자인을 자랑하는 2021년 컬렉션 또한 곧 선보일 예정이다. 포보코리아취재_조고은ⓒ 월간 전원속의 내집 / Vol.265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6,409
인기
2022.05.10
하루의 시작과 끝, 편안한 쉼이 있는 침실 아이디어
하루의 시작과 끝을 함께 해주는 공간, 침실. 숙면과 휴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다채로운 침실 인테리어 모음.DESIGNⓒ레이리터구조 변경으로 넓어진 방을 파우더룸과 침실로 나눴다. 침실은 간단한 수납과 함께 휴식만 취할 수 있도록 하고 클라이언트의 니즈였던 녹색을 침대 헤드와 커튼 조명으로 풀었다.romentor design studio광폭의 오크 원목마루와 나무 소재의 벽 마감 등으로 한옥의 느낌이 물씬 느껴지는 공간. 침실 한쪽에 마련한 툇마루는 집 안에 고즈넉한 분위기를 더해주고, 하루의 끝을 보내며 부부가 조용히 앉아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티룸의 역할을 겸한다.sudam architecture화장대를 겸한 수납장 위에는 길고 큰 거울을 달아 공간이 넓어 보일 수 있게 디자인하고, 그 옆으로 선반과 빌트인 책상을 설치하여 콤팩트한 서재를 만들었다.YELLOW PLASTIC침대 위 선반은 아기자기한 소품들을 효과적으로 장식하고, 간접 조명이 있어 밤이 되면 침실에 무드를 더한다. 화장대는 사이즈에 맞게 제작하여 낭비되는 공간이 없도록 수납을 확보하고, 왼쪽으로는 오픈장을 만들어 화장품을 꺼내쓰기 편리하도록 했다.YELLOW PLASTICⓒ진성기침실에서 프로젝터로 미디어 시청을 할 수 있게 배려한 침실. 단조로울 수 있는 벽에는 차분한 패턴의 우드 마감재와 짙은 녹색 컬러로 포인트를 주고, 침실과 욕실 사이 간살 도어에 패턴을 넣어 공간에 재미를 주었다.romentor design studioCONVENIENCEⓒ진성기실거주자의 프라이버시가 확보되면서 편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창의 위치 등을 고민해 설계한 침실. 침대와 협탁, 화장대 겸 책상은 무늬목을 사용하여 호텔 콘셉트로 전체 제작하고, 메인등 없이 간접 조명과 LED 스팟조명으로만 계획하였다. 침실과 연결된 파우더룸은 우측은 드레스룸, 좌측은 욕실로 구성되어 좀 더 여유롭게 사용 가능하다.somyung gongganⓒ진성기구조 변경으로 침실과 드레스룸을 나누고, 침실은 휴식의 기능에 집중해 인테리어했다. TV 우측에 책을 둘 곳으로 사용할 낮은 우드 선반과 노트북 등을 놓을 아담한 장소를 배치했다.romentor design studioⓒ진성기침실 옆으로 세면실, 욕실 등을 두어 사용자의 동선 및 편의를 배려하였다. 창 앞에는 수납의 용도를 더한 윈도우시트를 만들어 또 하나의 휴식 공간을 꾸몄다.DESIGNNARUⓒ진성기붙박이장과 침대 사이 공간을 활용하고자 침대 헤드를 별도로 제작했다. 위쪽은 유리로 답답함을 덜어내고, 휴대전화 등을 충전할 수 있는 콘센트와 선반, 조명을 함께 설치해 실용적인 침실을 완성하였다.Rimdesignⓒ진성기화이트&우드로 꾸민 침실. 한쪽에는 같은 톤의 화장대를 두어 분위기를 맞추었다. 벽면에는 라탄 파티션을 설치해 답답함을 해소하고 안락한 쉼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standingfishⓒ진성기동양미와 현대미가 잘 어우러진 침실. 침대 프레임, 거울, 콘솔 등 라운드형의 제작 가구들로 통일성과 일체감을 구현했다.Rimdesign천창과 별도의 다락을 둔 높은 층고의 침실. 침대 헤드 위 창을 통해 아래층과도 소통할 수 있다.samganilmok architects침실은 아늑한 분위기 연출을 위해 베이지 컬러 톤을 바탕으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침대 컬러에 맞춰 블랙 아이템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가구 하부장을 이용하여 수납 공간을 높이고 파우더룸과 침실을 분리했다.YELLOW PLASTICFOR KIDSⓒ진성기부모와의 수면 분리를 위해 아이가 좋아할 컬러와 아이템으로 구성한 방. 방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수면 시 켜둘 캐릭터 조명과 쿠션, 캐노피에는 나비 오브제도 함께 달아주었다. 일반적인 원목마루와 실크벽지로 마감하였지만, 밋밋하지 않도록 벽지는 반반 시공하였다.somyung gongganⓒ진성기너무 많은 컬러를 사용하면 자칫 산만해 보일 수 있으므로, 벽과 가구 색 정도만 맞춰 차분해보일 수 있게 했다. 화사한 노란색을 입은 가구와 벽이 공간에 활력을 선사한다.DESIGNNARUⓒ진성기사이좋은 자매를 위한 침실. 학습 공간과 침실 공간을 중앙 도어로 명확하게 나눴다. 부족한 수납은 침대 벽 쪽으로 구성하여 채우고, 기존 책상과 침대와도 어색함 없이 조화를 이루도록 신경 썼다.romentor design studio천장고를 적극 활용하여 오르내리는 재미를 살린 복층으로 구성하고, 아래쪽은 집 속의 집 같은 침실을, 위쪽은 드레스룸 겸 아이만의 놀이 공간을 마련해주었다.MIUGA DESIGN STUDIO핑크 컬러를 중심으로, 펜던트 조명과 침대, 소품 등을 통해 개성을 더해준 침실. 유리 파티션은 책상 영역과 침대 영역을 구분해주는 동시에 독립된 공간처럼 포근함과 따스함을 선사한다.YELLOW PLASTICⓒ진성기가장 작은 방이지만, 옷과 책 수납장, 책상, 침대, 시스템에어컨까지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라 창문을 줄이고 벙커침대를 만들어 필요한 부분을 해결하였다. 침대 아래층과 계단은 수납으로 채우고 2층엔 매트리스만 넣어 예쁜 침실을 만들었다.romentor design studioⓒ진성기벽지와 가구, 블라인드의 높이를 맞춰 화이트와 그레이 컬러로 마감하고, 만화책을 수납할 수 있는 오픈 책장을 사이즈 맞춰 제작해주었다. 모든 가구는 친환경 자재를 사용했고, 키큰장, 옷장, 침대 하부 등 수납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했다. 침대 헤드 상부에는 약간의 홈을 파고 스마트콘센트를 설치해 무선 충전이 가능하며, 책도 올려둘 수 있어 편리하다. somyung gongganTIP침실은 하루를 마무리하고 가장 이완된 상태로 깊은 숙면을 취하는 공간인 만큼 아늑하고 편안한 느낌이 최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침 패턴에 맞춰 조명, 커튼 등의 부가요소를 통해 방으로 들어오는 빛 조절에 신경 쓰고, 침실 외 다른 동선이 겹치는 경우 파티션이나 가구 배치로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숙면에 방해가 되는 요인을 줄인다.취재협조옐로플라스틱www.yellowplastic.co.kr 로멘토디자인스튜디오https://romentordesign.com 림디자인http://rimdesignid.com 스탠딩피쉬 디자인https://blog.naver.com/standingfish 디자인나루www.design-naru.co.kr 소명공간https://blog.naver.com/somyung_gonggan취재_김연정| 사진_브랜드 제공ⓒ 월간 전원속의 내집 / Vol.265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7,313
인기
2022.04.15
TABLE & CHAIR VARIATION
쓸모의 발견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늘 있던 가구의 새로운 쓰임을 깨닫는 요즘.다이닝룸, 작업실, 홈 카페 등 어디에 두어도 좋은테이블과 의자들을 모았다.DINNING ROOM①_1950년대 디자인된 의자에 다양한 컬러를 입혀 새롭게 제작·출시했다. 앙증맞고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이동성이 좋아 식탁에서 사용하기 편하다.W45.5×D49.5×H81/SH46.5(cm) HAY②_오래도록 질리지 않는 심플한 디자인이 매력적인 테이블. 상판은 고압 처리된 래미네이트로 제작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관리가 쉽다. 확장형 상판 선택도 가능하다.W180×D95×H72.5(cm) Andersen③_현대 가구 디자인의 고전 중 하나로 불리는 팬톤 체어. 유려한 곡선미가 돋보이는 일체형 플라스틱 의자로, 각도에 따라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다.W50×D61×H83/SH41(cm) Vitra④_최소 4명에서 최대 8명까지 앉을 수 있는 확장형 원목 테이블로, 잦은 손님맞이에도 걱정 없다. 상판을 접었을 때는 사각, 양쪽을 펼치면 타원형 테이블로 각기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수종은 오크, 체리, 월넛 3가지.W130~220×D800×H730(cm) STANDARD.a⑤_언뜻 단순해 보이지만, 볼수록 예쁜 의자. 가는 다리와 등받이 라인의 비스듬히 깎인 디테일이 돋보인다.W43.3×D49.3×H83/SH46.1(cm) GÄRSNÄSWORKROOM①_핀란드산 자작나무로 만든 알토 테이블 시리즈.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테이블을 원하는 대로 조합해 쓰는 재미가 있다. 상판 하부에 멀티탭 설치도 가능해 작업 공간에서 사용하기 제격이다.반원(95) W120×D60×H74(cm), 사각(80A) W120×D60×H72(cm) artek②_원하는 크기로 조절 가능한 드롭 리프(Drop Leaf) 방식의 테이블. 작업실이 따로 없거나 좁은 공간에서 활용도가 높다는 게 장점.W163×D142×H73(cm) &tradition③_안으로 꺾인 모양의 단순하고 튼튼한 다리가 인상적인 Minge 테이블. 긴 사각, 원형, 타원형 등 상판 모양과 수종에 따라 다른 분위기가 연출된다.W210×D90×H74(cm) ferm LIVING④_플라스틱과 소나무 섬유를 합성한 혁신적 소재로 만든 의자다. 좌석이 널찍하게 설계되어 장시간 앉아 있어도 안락하다.W51×D53×H77/SH46(cm) MUUTO⑤_작업실에 하나쯤 두고 사용하기 좋은 로바로르 접이식 의자. 벽에 걸거나 구석에 기대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W47×D46×H89/SH45(cm) IKEAHOME CAFE①_휴식이 필요할 땐 폭신한 의자가 생각나는 법. 몸을 감싸는 등받이와 부드러운 벨벳 소재의 라운지 체어는 차 한잔의 시간을 더욱 더 여유롭게 해준다.W70×D65×H75/SH42(cm) &tradition②_단순하지만 시각적인 재미가 있는 Rope 체어. 팔걸이와 등받이의 로프는 해양용으로, 앉았을 때 의외로 편안해 반전의 놀라움을 선사한다.W51×D44×H80/SH45.5(cm) artek③_Aslak 체어는 팔걸이가 짧아 테이블에 안정적으로 바짝 당겨 앉기 좋다. 최대 4개까지 쌓을 수 있고 가벼워 보관이 편리하다.W53×D50×H76/SH46(cm) artek④_더욱 널찍한 카페 테이블이 필요할 땐 다이닝 테이블을 활용해보자. 가늘고 세련된 다리 디자인 덕분에 하부 공간이 넉넉해 여럿이 둘러앉아도 편안하다.W200×D85×H72(cm) ASPLUND⑤_테이블에는 여러 사람이 다양한 이유로 모인다. 스페인 디자이너 하이메 아욘은 상판과 기둥, 베이스에 각각 다른 색상과 소재를 적용해 이를 표현했다고.Ø120×H73(cm) &tradition구성_조고은 | 사진_브랜드 제공ⓒ 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64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6,280
인기
2022.03.28
우리 집 벽은 남다르다 INTERIOR WALL DESIGN
도화지 같은 공간도 좋지만, 그냥 평범한 건 참을 수 없다면?벽지, 타일, 미장재, 패널 등 집에 대한 로망을 충족시켜줄다양한 인테리어 벽 마감재 컬렉션.WALLPAPER▲ 질감이 살아있는 퍼, 스웨이드 소재로 만든 ARTE의 월커버링은 침실, 거실 등에 적용하면 과하지 않으면서도 럭셔리한 분위기를 낸다. 고급 목재나 대리석에 버금가는 내구성으로, 벽뿐만 아니라 가구에도 사용할 수 있다.DAV▲ 물을 쓰는 욕실, 주방 벽에도 벽지를 바를 수 있다. 월앤데코의 ‘WET system’은 뛰어난 방수 성능을 가진 벽지로, 기존 타일 위에 바로 시공 가능한 것 또한 장점. 다채롭고 예술적인 뮤럴벽지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으니 취향껏 골라보자.DAV▲ 패턴 벽지는 인테리어의 단조로움을 해결해줄 가장 손쉬운 방법 중 하나. 그중에서도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플라워 패턴은 한층 부드럽고 클래식한 공간을 연출해준다.Designers GuildTILE▲ 유리알 같은 표면의 광택과 맑은 색감이 돋보이는 포세린 타일. 우드, 스톤, 대리석, 금속 등 다양한 자재와 잘 어울리며 따뜻하고 빈티지한 분위기를 자아낸다.60×240(mm) 유로세라믹▲ 입자가 큰 스톤이 부각된 테라조 타일을 단색 타일과 조합해 벽면에 포인트를 더해 보자. 요즘 유행하는 레트로 스타일의 테라조와 달리, 한층 차분한 색감으로 모던하고 세련된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다.900×900(mm) 유로세라믹▲ ‘V’자 모양의 입체적인 디자인이 독특한 타일로, 조합과 배열에 따라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다. 특히 15가지 파스텔톤 컬러가 랜덤으로 섞인 타일 구성을 활용하면 한층 사랑스럽고 특별한 벽을 디자인할 수 있다.200×200(mm) 윤현상재▲ 마치 종이를 접은 듯한 입체 타일과 크고 작은 마름모 격자무늬 타일까지. 기하학적 디자인을 담은 MUTINA의 ‘Rombini’ 컬렉션은 그래픽적이고 유니크한 공간을 완성한다.Triangle Small(5pcs) 315×35×22(mm), Carré 400×400(mm), Losange 27.5×25.7(mm) 윤현상재PANEL & PLASTER▲ 넓은 면적의 목재 패널은 시원한 공간감으로 타일과는 또 다른 느낌이다. 크기와 비율이 조금씩 다른 디자인 패널을 조합해 연출하면 하나의 작품 같은 벽면이 만들어진다.Inkiostro Bianco▲ 날것의 물성을 그대로 드러내는 구로철판 벽면이 거실의 중심을 잡아준다. 검푸른 색상과 문양이 특징인 구로철판은 인더스트리얼 인테리어에도 자주 쓰이는 대표적 마감재다.㈜건축사사무소 플랜▲ 곡면에도 시공할 수 있는 자작나무 소재의 템바보드. 벽면 하부에 부착해 웨인스코팅처럼 연출했다. 부드러운 벨벳 같은 질감이 우아한 느낌을 더한다.Inkiostro Bianco▲ 다양한 색상의 천연 광물을 조합해 바른 벽면이 이국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벽 갈라짐 등을 방지하는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자연스러운 질감을 살려 미장하는데, 기존 벽에 셀프 시공도 가능하다.인디무드자료협조_ 유로세라믹www.euroceramic.co.kr / 윤현상재www.younhyun.com / 인디무드www.instagram.com/indimood.kr / DAVwww.dav.kr구성_조고은| 사진_브랜드별 제공ⓒ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7,566
인기
2022.03.28
오래된 집을 살리고 싶다면
가장 트렌디하고 감각적인 인테리어의 최전선. 다채로운 상업 공간의 설계와 스타일링 중 주택에 적용할 만한 사례를 꼽아 디테일을 들여다본다. 열네 번째 장소는 서울시 은평구에 위치한 음식점 ‘경주식당’이다.여전히 우리 마음을끌어당기는 옛집의 매력뉴트로의 열풍을 발판 삼아 상업공간, 주거공간을 막론하고 각광받아온 오래된 건물의 변신. 몇 년째 이어지는 이 흐름은 단순한 과거의 재현에서 나아가 지금의 새로운 이야기를 들려주며 여전히 그 힘을 잃지 않고 있다.서울 은평구, 경주식당 연신내점은 오래된 2층 단독주택을 리모델링해 따뜻하고 정겨운 감수성을 그대로 간직한 곳이다. 디자이너는 옛 모습이 잘 보존된 구옥에서 가능성을 엿보았고, 복고적인 패턴의 1층 목재 천장은 그 출발점이 되었다. 리모델링은 기존 구조와 마감재를 최대한 살리는 선에서 진행했다. 1층 천장재는 물론 고재 기둥과 온돌 바닥, 2층 나무 바닥재, 반듯하지 않은 벽까지 고스란히 남겨두었다.오픈 주방은 오디오 스피커, 와인과 와인잔, 각종 집기의 수납을 꼼꼼히 계획해 제작했다.기존 벽의 형태를 그대로 살린 코너 테이블. 천장의 간접조명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고 단순한 선을 살려 과거 흔적과 잘 어우러진다.여기에 추억 속 대중목욕탕의 유리블록, 디딤돌로 자주 쓰였던 화강석 등의 마감재를 더해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공간을 의도했다. 특히 음악과 요리를 즐기는 이들이라면 꼭 한번 참고해볼 만한 오픈 주방은 치밀한 계산을 바탕으로 실현되었다. 오디오 스피커, 각종 주방용품과 식기 등 크기와 수량을 고려하여 맞춤 주방 가구를 계획, 제작한 것. 나왕합판과 모루유리를 적용해 전체적인 인테리어 콘셉트를 유지하는 것 또한 잊지 않았다. 그 외에 제작 조명이나 가구는 선적인 요소를 강조한 미니멀 디자인으로 과거의 흔적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했다.발코니와 연계된 전면창은 주택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게 하고, 코너창의 모루유리는 레트로한 분위기를 더해준다.기단, 계단에 적용된 화강석 등 구옥의 모습을 최대한 보존한 외관. 테라스를 적극 활용해 마당과 내부 공간의 연계성을 높였다.음악이 있는 오픈 주방에서의 식사, 큰 창을 낸 2층 소거실에서 햇살을 맞으며 누리는 휴식. 오래된 기억에 새로움을 덧입힌 집을 만들고 싶다면 도전해보자. 구옥이 가진 가능성을 발견하고 절제와 비움으로 기존의 것을 살리는 데 집중한다면, 편안한 공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인테리어 및 시공_oftn studio| 02-333-0144 www.oftn.kr취재협조_경주식당 연신내점| 서울시 은평구 연서로27길 13-8구성_조고은| 사진_최준용ⓒ 월간 전원속의 내집 / www.uujj.co.kr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8,032
RSS
검색
처음
1
페이지
2
페이지
열린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6
페이지
7
페이지
8
페이지
9
페이지
1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Guest
로그인
회원가입
쇼핑몰
젼열교환기
도서
HOUSE
CULTURE
LIVING & DECO
건축자재
Get Ideas
분양 정보
체류형쉼터
전열교환기 정보
재경영광군향우회
정보공유
일정관리
AI